82020.08.20(목) 5주차 4일
목~금 2일동안
AWS 튜토리얼, AWS 소개
오늘은 AWS를 활용한 서버 구축 및 리눅스 운영체제 경험.
내일은 그동안 배운 언어(JAVA, SQL)과 툴(Maria DB, Tomcat) 을 리눅스에 설치할 것이다.
내일 빡셀듯
1. AWS 소개
요새는 기업들이 자체서버를 운영하기보다 AWS를 활용해서 운영한다. 개발자들도 개발뿐만이 아닌 개발환경에 대해서 신경을 써야하는 시대 AWS 핵심기능 200~300개 그중 50~60개 구현 가능하면 정말 잘 써먹는 것 정처기 공부하고 AWS 자격증도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
2. AWS 서버 구축
강사님이 주신 PPT : Amazon-20200818.pptx
1) 키페어 설정 : ubuntu-20200820 (서버이름 만든날짜 ) 국룰인듯 * 팁) 키페어는 다운받아서 이곳저곳에 복사 및 백업을 해주는 것이 좋다. 2) 퍼블릭 DNS : 접속 주소, IP같은것 |


3. GIT bash

대부분의 회사 서버환경은 '리눅스'다. (0) Window의 cmd에선 리눅스,SSHD가 인식이 안됨 하지만 GIt을 이용하면 윈도우에서도 된다. 맥북 터미널에선 그냥 됨 맥북 개발자한테 좋음. 부팅 빠름. 구동도 잘됨. 팁) TAb을 치면 자동완성 Ctrl + "+" 숫자 키우기 |
(1) 리눅스 개발 환경 접속하기
cd do
(2) 리눅스 개발환경 실행 #은 업데이트 등 서버의 관리가 가능하지만 $은 불가능하다. |

4. Linux 파일 관련 명령어

(1) 파일시스템 / : 최상의 디렉토리 /bin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home : 사용자 홈 디렉토리 /etc : 리눅스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설정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mnt : 탈부착이 가능한 장치 : AWS는 불가능-의미없음, 하드디스크(외부장치)를 운영하는 서버는 가능 /root : 시스템 최고관리자인 root 사용자의 개인 홈 디렉토리 /usr : 프로그램 설치 디렉토리 /tmp : 모든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var :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 |
(2) 파일 경로와 순서 절대 경로 vs 상대경로 => 주로 상대경로를 쓴다. ubuntu@ip-172-31-43-95:/$ ls -l ls -l 모든정보 drwxr-xr-x 5 ubuntu ubuntu 4096 Aug 20 01:00 ubuntu 파일인지아닌지 - 사용자정의 - 접속권한, 파일갯수, root, root, ls - al 숨김파일 보이기 ls - alt 내림차순으로 보기 |
예제) 사용자 디렉토리에서 document, download, workspace/Hello.java, bin 만들기


5. Linux 삭제 관련 명령어
rmdir : dir 삭제 : 폴더(dir) 안에 있으면 삭제가 안됨
그래서 rmdir -p 지울 폴더/하위 폴더, 근데 폴더만 삭제해서 기능이 약함. 그래서 안쓰임
그래서~ rm을 씀
===============
mkdir : 디렉토리 생성
rmdir : 디렉토리 삭제
touch : 빈 파일 생성
mv : 파일 이동 /변경
rm : 파일 삭제 (옵션 : -r)
cp : 파일 복사


6. Linux 파일 찾기 , 파일보기 관련 명령어

답은 find . - name *.java -size +1c
= 1바이트? 이상의 자바 파일을 찾아라 때문이다.
cat Hello.java Hello2.java Hello3.java
= 헬로 123 자바를 보여줘
1) CAT(전체) HEAD(위에서부터 일부분) TAIL (아래서부터 일부분)
2) 문자열 찾기 grep "public class"
grep -i system Hello.java : -i 대소문자 구분 없이 찾기
그냥 grep에선 System.out.prinyln이니까 S로 특정하지않으면 안찾아짐
리눅스, 너무 어렵지? 그래서 '편집기'가 있다!
7. Linux 파일 편집기
파일 편집 및 관리1 (vi)
workspace에서 vi '호출할 파일'
/workspace$ vi Hello.java
편집기 모드에 Hello.java 실행
i로 데이터 입력하기
: 시리즈
:w 저장
:q 우분투 서버창으로 빠져나오기 (:q! 저장 안하고 나가기)
:wq 동시에 ㅋㅋ
:set number
장점 : 없던 파일도 만들 수 있다. : vi name.txt 면 name.txt가 디렉토리에 없었어도 만들 수 있다.
단점 : 명령모드가 불편
파일 편집 및 관리2 (nano)
nano 에디터
바로 편집 가능
많이 씀
컨트롤 o : 저장, 컨트롤
8. Linux 유용한 명령어 (선생님 픽)
history
redirection > : history > history.txt 왼쪽에 있는 것을 오른쪽으로 리다이렉션
piping 각종 찾기 : | (Shift + \) 을 사용한다.
ls -l | more 엔터는 한 문장씩 내려감, 스페이스바 한 페이지씩 소환
ls -l | less more은 엔터 스페이스만 먹지만, less는 방향키도 먹는다
원하는 값 찾고 q누르면 빠져나옴
파일 압축 : tar.gz를 위주로 할 것. 압축 파일명에 날짜 꼭 기입하기(국룰)
tar –zcf
압축파일 풀기
tar –zxvf
v option?
압축
8. Linux 링크 파일 만들기 :두 가지 방법
= 위도우에서 바로가기 기능



(1) Hard link : $ ln test.txt testln.txt
원본 파일이 삭제되어도 존재함
원본파일이 변경되어도 하드링크 파일은 변화가 없음
마찬가지로 하드링크 파일을 건드려도 오리지널은 변화없음
(2) symbolic link : ln –s test.txt testln.txt
원본 파일이 삭제되어면 못 쓰는 파일이 됨
원본파일이 변경되면 심볼 파일에 변화가 반영됨
마찬가지로 심볼 파일을 건드리면 오리지널도 변화됨


※ 오늘 배우고 느낀 것
1.
2.
3.
'[2020]KIC 캠퍼스 복습 > Linux(6)'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 D-29 ] AWS)linux에 java, Maria DB설치 (0) | 2020.08.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