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27 (월) 3주차 1일
사실 2주차는 수업 정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변명을 하자면, 따라가기도 벅차고 그날배운거 바로바로 연습하기도 빡세서;; 아니 무슨 이해를 해야 뭐 리뷰를 남기든가 말든가 하지;;; 그래도 조오옹금은 이해가 되는거 같아서 한꺼번에 몰아서 복기를 할 생각이다. 여튼! 3주차는 써야지.
3주차 시작. 오늘부터 자바는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SQL을 시작한다.
아직 자바에 적응도 제대로 못했는데 다시 새로운 무언가를 하려고 하니 솔직히 겁이 많이 난다.
1. [자바]팩맨 만들기
간단한 게임 만들기였다. 외부 이미지를 자바로 끌어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이콘을 화면 중앙에 위치시키는 세부적인 내용까지 내가 지정해야한다는 사실이 너무나 충격적이었다. 심지어 잔상도 없애야하고... 컴퓨터 언어는 내 생각보다 훨씬 불편한 존재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주요내용 : 삼항연산자, keyboardevent, toolkit.getDefaultToolkit().getImage(사진 위치);
2. [자바]메모장 만들기
메모장 하나 만드는게 이렇게 어려울 줄이야.. 정말 많은 변수가 필드에 입력되고 자기들끼리 끌어오고;;;
음 extends JFrame implements ActionListener 이런 구조를 파악하는게 좀 골치아프다.
setBounds(300, 300, 400, 300);
setVisible(true); 이런건 이제 그냥 아무렇지 않고 치고 있고..
제일 복잡했던 건 actionPerformed(ActionEvent e) method다. if와 else if, try와 catch의 연속적인 사용때문에 머리가 아프다. 각 우클릭이나 복붙 등 기능마다 이렇게 긴 코드줄이 들어갈 줄은 생각도 못했다.
매카니즘적 상상력과 틀을 짜는 역량이 프로그래밍에서 정말 한 것 같다.
주요내용 : private method 에 field에서 지정해놓은 panel들을 끌고와서 button들과 합쳐주는 과정. 아래에 바로
btn000. addActionListener(this) 시리즈들을 붙여주는 것이 중요!
3. SQL 이론정리
[정리]
1. (이해못함) HTML에서 JAVA로 옮기는? 과정에서 JSP와 Servlet이 필요하다.
Servlet은 JS가 SQL을 못 읽기 때문에 필요하다.
2. DB와 관련된 언어? 툴들은 다양하다고 배웠다. Hadoop, NoSQL, MongoDB, SQLite 등이 있다.
표준은 ANSi 인데 이와 가장 가까운 것은 리눅스의 표준 DB인 MariaDB다.
3. JS를 제외한 '대부분의 언어'는 SQL 사용가능
4. DB를 통제하는 '유일한 수단'
※ 오늘 배우고 느낀 것
1. (JAVA) 아직도 많이 부족하고 아직도!! 사실 this로 지정하고 막 변수들 여기저기서 끌어오고 지정하고 내보내고 이런 것들을 잘 모르는데, 벌써 새로운 SQL을 배운다니 맘이 편치 않다.
2. (SQL) cmd와 도스환경? 이런거에 영 적성이 안 맞는다. 복붙도 잘 안되면서 일일히 하나하나 쳐야하는 수고가 너무하네. 승빈이가 말하길 C언어 유저들은 이런 환경에서 일하고, 오히려 이 손맛을 즐긴다는데, 롸끈한 성격의 보유자인 나랑은 잘 안 맞는것 같다. 근데 DB의 필수 스킬이니 어쩔 수 있나. 열심히 잘 해봐야지..
'[2020]KIC 캠퍼스 복습 > JAVA(1,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 D-16 ] JAVA) SQL을 읽을 수 있는 JAVA, MAVEN PROJECT (0) | 2020.08.03 |
---|---|
[예제 4W] 수업 예제 정리(JAVA) (0) | 2020.08.03 |
[수업 D-3] While, Array, "클래스" (0) | 2020.07.15 |
[예제 1W] 수업 예제 정리(JAVA) (0) | 2020.07.15 |
[수업 D-2] 관계연산자, 논리 연산자 (0) | 2020.07.14 |